2013년 7월19일 오후7시 서울광장에서 촛불문화제가 열였다.
각 언론마다 보도를 한 곳도 있고, 하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그러나 보도를 한 언론들도 자신들에게 유리 하도록 보도를 합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30719211106770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071920264114080&outlink=1
http://www.dailian.co.kr/news/view/359649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968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7192231241&code=940100
연합뉴스 : 전체적으로 여백(50%이상)을 많이 두어 규모를 적어 보이게 하였습니다.
머니투데이 : 제목에 "외딴섬"이라 표현하여 일단 규모를 축소하고 사진을 어둡게 처리하여 열기가 없는 듯 보이게 하였습니다.
데일리안 : 제목에 "선동"이라 표현하고 사진은 근접하여 찍고, 촛불문화제 인원과 어버이 연합 집회 인원을 비슷하게 보이도록 하였습니다.
go발뉴스 : 제목에 "꺼지지 않는"이란 표현 사용하여 지속된다는 것을 알리고, 대각선으로 찍어 전체적 규모가 커 보이도록 하였습니다.
경향신문 : 제목에 "4차"란 표현 하여 지속적이다는 것을 알리고, go발뉴스와 마찬가지로 대각선으로 찍어 규모가 커 보이게 하였습니다.
[기사 내용이 궁금하지면 사진 밑에있는 인터넷 주소에서 확인하세요]
자, 보시면 아시겠지만 실제 그대로를 정확히 객관적으로 보도하는 언론은 찾기 힘들고,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보도 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언론을 너무 맹신하지는 말라는 것입니다. 정말 궁금하면 직접 확인 하는 것이 그나마 실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제 주관적인 의견이 있겠지만, 현장에 있어 본 바에 의하며 저번주 토요일 집회보다는 못하지만 평일인데도 불구하고 굉장히 많은 사람이 모였습니다. 지난주는 가족 단위가 많았다면 이번주는 퇴근한 직장인과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자리를 지킨 사람들 보다는 시작하고 점점 숫자가 늘다가 9시를 넘기면서 많은 사람이 빠져 나갔습니다. 그래서 끝날 무렵에는 숫자가 확연하게 줄어 든 것은 사실입니다. 또 국정원 규탄의 강도 보다는 공연이 중심이 된 촛불문화제였습니다.
어버이연합 집회는 규모는 아주 적은데도 불구하고 음향시설이 좋았습니다. 주로 그나마 젊어 보이는 분이 발표를 하시고 나머지 분들은 동조하는 방식이였으며, 후반부에는 혼자 구호를 외치시던 분이 힘 드셨는지 음악을 크게 틀어 촛불문화제를 방해할 목적처럼 느꼈졌습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다음주는 2013년7월27일 토요일 오후 8시 서울시청광장에서 제5차 범국민 촛불문화제가 있습니다.
평소에는 청계광장 옆 동아일보 앞에서 매일 오후 7시에 촛불문화제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나비콘서트 2013년 7월26일 오후 4시 서울시청광장 (0) | 2013.07.24 |
---|---|
나꼼수를 다시 듣고 싶습니까? (0) | 2013.07.22 |
국정원 규탄 촛불집회 사람이면 참가하자 (0) | 2013.07.18 |
집회 참석 시 우리의 모습 (0) | 2013.07.17 |
블로그를 시작하며..... (0) | 2013.07.16 |